Oracle Cloud (7) 썸네일형 리스트형 [Oracle Cloud] 12.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 - jdbc 연결 개인 공부 /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오랜만에 다시 Oracle Cloud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 하나를 프로비져닝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DB client로 접속하는 방법만 작성해두고 정작 jdbc로 java app과 연결하는 법을 적어놓지 않아서 헤매버렸다. 문제를 해결해서 해당 방법을 나중에 다시 보려고 작성해둔다. 1.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를 시작한 후 콘솔에서 전자지갑을 다운받고, 압축을 해제한다. 2. 라이브러리 - ojdbc8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 프리티어 -> Oracle 19c) - ucp - oraclepki - osdt_core - osdt_cert 3. property 설정 jdbc.driver=oracle.jdbc.driver.OracleDriver jdbc.user=${DB 유저I.. [Oracle Cloud] 11. 프리티어 DB 올해 개인 과제 겸 개인 사이드 프로젝트용으로 오라클 클라우드 개발 및 배포환경을 구성하면서 처음에 짰던 구상은 이랬더랬다,,, Oracle Cloud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VM 인스턴스 2개를 각각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CI/CD 및 DB 서버로 나누어 운영하고, 회사에서 제공받은 AWS 인스턴스에 무거운 로직을 수행해줄 API 서버를 올려 서비스를 구성하는 것. 그런데 Oracle Cloud 프리티어에서 VM 인스턴스외에도 제약이 있긴 하지만 Oracle DB 서버를 제공해준다고 한다. 대략적인 스펙은 CPU 1코어, 20GB이고 19c 버전의 DB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다만 DB 접속을 1주일간 하지 않을시 자동으로 DB가 정지되고, 3개월간 정지상태이면 리소스를 회수해간다고 하니 이에대한 자동화.. [Oracle Cloud] 10. 무료 SSL 인증서 적용 도메인까지 구매해 연결을 완료했으니 SSL 인증서를 적용한다. Let's Encrypt를 이용해 진행한다. http와 https의 차이점은 추후에 자세히 포스팅하기로하고 일단은 적용부터 1. Certbot 설치 yum install epel-release yum install certbot yum install python3-certbot-nginx 설치 확인 certbot --version 2. nginx.conf 설정 vi /etc/nginx/nginx.conf server.server_name 에 도메인 입력 # nginx.conf test nginx -t # reload systemctl restart nginx.service 이전 방화벽 오픈 때 https 기본 포트인 443도 오픈 해두었기 때.. [Oracle Cloud] 5. CentOS 8 - VM 인스턴스에 openjdk11 설치 https://bbyuck.tistory.com/31 [Oracle Cloud] 4. 방화벽 설정 개인 프로젝트에 사용하기 위해 http, https 포트를 개방해야 한다. Oracle Cloud의 VM 인스턴스는 기본적으로 Out bound는 모든 포트가 열려있고, In bound는 SSH와 ICMP 포트만 열려있다. In bound에 http와 htt.. bbyuck.tistory.com 에서 이어지는 포스팅. 방화벽 설정을 마쳤으니 정상적으로 포트가 열렸는지 확인하기 위해 Spring Boot 앱을 올려서 테스트를 진행한다. jar 파일로 빌드해 scp로 VM 인스턴스에 빌드된 앱을 올렸으나, 이번에 새로 할당받은 VM 인스턴스이므로 java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entOS .. [Oracle Cloud] 4. 방화벽 설정 개인 프로젝트에 사용하기 위해 http, https 포트를 개방해야 한다. Oracle Cloud의 VM 인스턴스는 기본적으로 Out bound는 모든 포트가 열려있고, In bound는 SSH와 ICMP 포트만 열려있다. In bound에 http와 https 프로토콜을 수신할 수 있는 80포트와 443포트를 열어주는 작업을 진행한다. 1. 컴퓨트 > 인스턴스 > 인스턴스 세부정보 1.1. 기본 VNIC > 서브넷 클릭 1.2. 보안 정책 목록 2. 수신(In bound) 규칙 추가 3. 수신 정책 생성 완료 4. 방화벽 설정 VM 인스턴스 할당시 설정했던 CentOS8 기준. 4.1. 터미널로 VM 인스턴스에 접속해 방화벽을 설치 sudo yum install firewalld 4.2. 서비스/포트 .. [Oracle Cloud] 3. 고정 IP 적용 할당받은 VM 인스턴스에 고정 IP를 적용해보자. Oracle Cloude 프리티어에서는 1개의 고정 IP를 무료로 제공한다고 한다. 먼저 고정 IP를 할당 받는다. 1. 고정 IP 할당 받기 1.1. 메뉴 > 네트워킹 > IP 관리 > 예약된 공용 IP 1.2. 예약된 공용 IP 주소 버튼 클릭 1.3. 예약된 공용 IP 주소 탭에서 IP 주소명 입력 후 예약된 공용 IP 주소 버튼 클릭 1.4. 생성 완료 이렇게 할당 받은 고정 IP를 미리 할당받아둔 VM 인스턴스에 연결한다. (구획을 나누려고 무던히도 삽질을 했지만 실패해 단일 인스턴스로 간다,,,, 공부가 더 필요하다.) 2. VM 인스턴스에 할당받은 고정 IP 연결 먼저 Oracle Cloud 콘솔에서 VM 인스턴스 정보창으로 접속한다. 그 후.. [Oracle Cloud] 1. 프리티어 계정 생성 개인 공부 및 사이드 프로젝트 결과물을 올릴 개발 서버가 필요해 비용없이 저렴하게 VM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찾던 도중 Oracle Cloud에서 프리티어 계정에 평생 무료 VM을 제공한다고 해 계정을 생성했다. 그렇다고 합니다. 이전에 공부하려고 GCP에도 가입했었는데, GCP에서는 한 개만 무료제공 해주는(무료 제공 시간 모두 사용 기준) VM을 두 개나 제공해주는 것도 그렇고, 메모리도 1GB로 더 많다. 또 웹 앱을 올려야 하기 때문에 고정 IP도 무료로 할당할 수 있는점이 좋았다. 스펙은 아래와 같다. 다음의 블로그를 참조하였다. 출처 : https://blog.ny64.kr/posts/create-your-own-lifetime-free-server-using-oracle-cloud/..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