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City] 5. Build Config
https://bbyuck.tistory.com/43 이 포스팅으로부터,,, Build Agent가 사용할 Gradle을 먼저 서버에 설치해주었다. 1. 미리 생성해둔 프로젝트 main 브랜치 버튼을 클릭해 프로젝트 콘솔로 들어간다. 포스팅 전 시행착오를 겪느라 이미 쌓인 빌드로그들,,, 무시하고 우측 상단의 Edit Configuration Settings 버튼을 클릭한다. Configuration 메인화면 빌드명, 빌드 ID, 설명 등 기본적인 데이터 설정들,, VCS 탭도 확인해보자. 프로젝트를 생성하면서 잡아둔 VCS 루트가 잘 잡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riggers로 간다. 아래 스크린샷에는 설정해둔 트리거가 하나 있지만, 원래는 없다,,, Add new trigger 버튼을 눌러 빌드..
[Linux] Gradle 설치
https://bbyuck.tistory.com/42 [TeamCity] 4. 프로젝트 추가 초기 설정을 마쳤으니, 프로젝트를 추가한다. 먼저 Spring Boot앱을 하나 만들어 프로젝트를 오픈한다. https://start.spring.io/ 커밋 후 github repository에 푸시,,, 여기까지가 준비물이다. 1. 우측 상단 Adm.. bbyuck.tistory.com 이 포스팅 이후,,, 빌드 설정 중 빌드 에이전트의 Gradle 설정을 하다가 Spring Boot에 내장되어있는 Gradle 말고 환경변수로 관리되는 Gradle을 설치해야겠다 생각되었다,,, 물론 단일 프로젝트로 진행하면 기본 설정으로 진행해도 괜찮겠지만 하나하나 늘려갈 생각이라 기왕 설정하는거 하나로 관리하면 좋겠다는 생..